목차
2025년 Tiger S&P 500 ETF, 지금까지의 흐름
2025년 1월부터 4월까지, Tiger S&P 500 ETF는 꽤 안정적인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3월 중순부터 시작된 반등이 강하게 나타났고, 4월에는 연초 대비 약 7~8% 상승한 흐름을 유지했습니다.
Point: 2022~2023년의 변동성과 비교하면 지금은 '중간 회복기'로 보입니다.
최근에는 AI, 반도체, 빅테크 중심의 상승이 다시 한번 ETF 수익률을 끌어올리는 중인데, Tiger S&P 500 ETF는 이러한 상승에 꽤 빠르게 반응하는 편이라 4월 말 기준으로 재차 고점을 테스트하고 있습니다.
왜 S&P 500 ETF가 여전히 주목받는가?
장기적 성장 + 분산 효과
S&P 500은 미국을 대표하는 500개 대기업의 지수입니다.
즉, Tiger S&P 500 ETF에 투자하면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같은 기업에 자동으로 분산 투자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과 S&P 500 영향
2025년 1월 취임한 트럼프 대통령은 공약대로 강력한 관세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 수입품에 대한 추가 관세와 유럽, 캐나다, 멕시코 등 주요 교역국에 대한 관세율 인상을 단행했습니다.
단기적 영향: 부정적 요소 존재
트럼프의 관세정책 발표 직후인 2월 초, S&P 500 지수는 일시적으로 3%가량 조정을 받았습니다.
특히 글로벌 공급망에 의존도가 높은 제조업 및 소비재 섹터가 타격을 받았습니다.
중장기적 대응: 미국 기업들의 적응력
그러나 S&P 500에 속한 대부분의 기업들은 이미 2018-2020년 첫 트럼프 행정부 시절의 무역분쟁을 경험하며 공급망 다변화와 원가 구조 개선 등의 경험을 갖추었습니다.
특히 3월부터는 미국 중심의 생산 확대와 국내 투자 증가 계획을 발표한 기업들이 주가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섹터별 영향 차이
- 긍정적 영향: 미국 내 생산 기업, 방위산업, 에너지 섹터
- 부정적 영향: 글로벌 공급망 의존 소비재, 일부 IT 하드웨어
주목할 점: 트럼프 대통령의 법인세 인하 정책은 S&P 500 기업들의 순이익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어, 관세정책의 부정적 영향을 일부 상쇄하고 있습니다.
5월, 어떤 전략으로 접근할까?
1) 5월은 '숨 고르기' 시기
5월은 통계적으로 보면 미국 주식시장의 '관망 구간'입니다. 'Sell in May and go away'라는 말이 있을 정도죠.
하지만 2025년의 경우는 좀 다릅니다.
금리 인하 기대감과 실적 시즌 호조로 5월 초반까지는 상승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봅니다.
2) 분할 매수 전략이 유효
5월에 한 번에 크게 베팅하기보다는, 주차별 분할 매수를 추천드립니다.
특히 직장인이라면 월급일 기준 자동 이체를 활용한 적립식 매수가 가장 안정적입니다.
추천 매수 타이밍:
- 5월 7일(화): 실적 발표 이후 조정 예상
- 5월 15일 전후: 트럼프 대통령의 추가 무역정책 발표 예정, 변동성 확대 가능성
- 5월 20일(월): FOMC 의사록 발표 전후, 단기 조정 가능성

직장인에게 현실적인 ETF 운용 팁
1. 타이밍보단 '존버력'
ETF 투자의 가장 큰 적은 '감정'입니다. 조금만 떨어져도 손절하고 싶고, 조금 오르면 팔고 싶어 지죠.
하지만 Tiger S&P 500 ETF는 10년 이상 장기 우상향을 보여온 자산입니다.
매달 일정 금액만 투자하고 5년 이상 묵히면 대부분 좋은 결과로 돌아옵니다.
2. 연금저축계좌에서 매수하자
많은 직장인이 놓치는 포인트! Tiger S&P 500 ETF는 연금저축계좌나 IRP 계좌에서 매수하면 세액공제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즉, ETF 투자도 하고 세금도 줄이고, 일석이조입니다.
마무리와 한 마디 – 오늘이 기회일 수도
Tiger S&P 500 ETF는 단기 수익보다 장기 복리 효과를 위해 투자하는 상품입니다.
존버라는 말이 딱 맞는 상품이죠.
지금 당장 완벽한 타이밍을 노리기보다는, 그저 시작하는 것 자체가 중요합니다.
몇 년 후 돌아봤을 때, "그때 시작했으면 좋았을 텐데"라는 후회보다는 "그래도 그때 시작해서 다행이다"라는 생각이 들게 될 것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변화와 시장 변동성은 있겠지만, 장기적으로 미국 경제와 기업의 성장세를 믿고 투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줄 요약
- Tiger S&P 500 ETF, 트럼프 미친 관세정책에도 선방 중
- 5월 투자전략은 7일, 15일, 20일 전후 분할매수가 유리
- 연금계좌 활용 시 세액공제까지, 장기복리 효과 극대화
2025.05.05 - [퇴직 및 재테크/주식] - 2025년 1~4월 미국 증시, 이렇게 올랐다! 5월 전략은 '이렇게'
2025년 1~4월 미국 증시, 이렇게 올랐다! 5월 전략은 '이렇게'
요즘 퇴근 후 미국 주식 차트를 보면서 한숨만 나오네요...4월부터 시작된 조정이 5월까지 이어질 조짐이라... 그래서 1월부터 지금까지 무슨 일이 있었는지, 앞으로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제 생
sl-bbark.tistory.com